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06-30
조회수 : 97
목록으로
부 3화음의 대리, 연속사용의 구별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 하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84 85 페이지


-> 수강생님, 부3화음의 대리기능과 연속 사용에 대한 질문 주셨네요. 질문 안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3. 질문 내용

부3화음을 처리할 때 대리 기능의 경우와 연속적 사용 경우의 음 중복의 처리가 달라진다고 나와있는데요!

어떤 화성진행 중 어떤 화음이 대리적으로 쓰였는지 연속 사용안에서 쓰였는지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 

다시 말해 부 3화음을 사용할 때 '어떤 조건'이 이 화음이 대리적으로 쓰인 것인지 연속사용으로 쓰인 것인지를 결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우선 제가 가진 증보판 교재에는 해당내용이 없기는 합니다만, 교재와 강의를 통해 아시는 것처럼 부3화음은 주3화음의 기능을 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 3도 하행 약진행이 가장 자연스럽고 (게다가 주3화음의 근음 3음을 품고 있기 때문에) 좀 더 '확실한' 대리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화음이 대리적으로 쓰였는지 연속 사용 안에 쓰였는지를 구분하시려는 목적이 궁금합니다. 왜냐하면 부3화음은 대부분 대리기능을 하는 화음의 역할을 하며 이것이 연속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은 vi-ii (I와 IV의 대리화음의 연속사용) 이런 정도로 볼 수 있겠지요? 이를 구분하는 것이 크게 의미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구분하시려는 이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질문으로 보았을 때, 음 중복의 처리 때문에 고민이신 거라면 교재에도 나와 있는바 같이 3음과 5음이 중복되는 (3도 상행진행이 되겠지요) 부3화음보다는 근음과 3음이 중복되는 부3화음이 좀 더 강한 대리기능을 보인다는 사실을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여기서의 중복은 I의 '3음 중복' 할 때의 중복이 아니라, 주3화음 I 와 부3화음 vi는 '도와 미 가 중복된다'라는 의미에 중복이므로 헷갈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교재를 정독해본 결과 .. 일단

부 3화음이 1전위로 사용되어 베이스인 3음이 중복되어 사용되면 - 대리적 활용의 사례이고

'주 3화음 사이에서 3도 하행의 약진행을 유발하면'- 연속사용의 사례로 보고 베이스인 부3화음의 근음을 중복한다고 나와있는데요 


 만약 1도-6도-2도-5도에서는 6도와 2도의 기능을 어떤 기능으로 봐야하는 건가요?      6도가 3도 하행했지만 주 3화음 사이에서 쓰인 것은 아니고 

2도 역시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 


-> I-vi-ii-V 는 전형적인 부3화음을 사용한 화성의 기능적 연결의 예입니다. (교재 화성기능의연결- 증보판 99p.) 

화성 진행에 대해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처음에는 여러가지 법칙들에 압도되어 머리가 복잡하기도 하지만,

좀더 지나고 나면 그 여러 법칙들이 수강생님께 자유를 가져다 주게 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저도 감사합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