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하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84-85 페이지.
3. 질문 내용
: 지난 번 질문에서 부3화음을 처음 접한지라 ,, 복잡하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저번 질문을 드린 이유는 그 둘을 제가 구분하려고 한 것이 아니고 교재에서 이미 부 3화음은 대리적 기능과 주3화음과 더불어 사용될시 화성을 이끄는 역할을 해준다고 해서,,, 당연히 구분이 되어지겠거니 했기에 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작곡자나 연주자가 부 3화음을 사용할 때 화성을 이끄려고 사용한 의도는 '근음 중복'으로 주화음의 대리기능으로 사용하려는 의도는 '3음 중복' 으로 드러나는 것인가? 하는 질문이 자꾸 들었습니다..!!
그래서 ,, 강의와 교재를 여러번 반복한 결과,,
1. 부3화음은 근음 , 아니면 3음 중복이 가능하다.
2. 근음이 중복되면 화성을 이끄는 역할이 강조되고 , 3음이 중복되면 대리적기능이 강조된다 (대리적으로 사용될 시엔 1전위 형태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이라는 것은 ,,, 부3화음의 3음이 중복된 채로 기본위치나 2전위로도 ,, 사용이 된다는 것인가요?!!.......)
3. 부3화음의 5음은 각각이 대리하는 주화음의 3음이 중복되어 음향적으로 특이한 상황이 벌어지기에 조심해서 다루어 진다.(4성부에선 금지된다.)
4. 즉 ,,라도미에서 미의 중복은 1도화음의 3음중복의 효과, 미솔시에서 시의 중복은 5도화음의 3음중복의 효과, 레파라에서 라의 중복은 4도화음에서 3음중복의 효과가 있기에 조심해서 다루어진다
라고 정리를 해보았는데요,, 혹시나 잘 못 이해 한 것이 있으면 ,,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해요 로운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