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07-22
조회수 : 30
목록으로
99페이지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99페이지 


-> 답변 드립니다.

3. 질문 내용

:  99페이지 EX67밑에 단락에 


'딸림기능'이란 뭔가요?

첫째 줄엔 'I로 도달 되는 과정은 V-I, IV-I 두가지가 있다. 전자를 딸림화음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라고 하는데

-> 제가 가진 증보판 교재에는 딸림화음기능 이라고 나오지 않고 'V 기능' 이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어쨋든 둘다 같은 말이고 잘 아시는 것처럼 V-I로 가는 (혹은 종지라고도 말하는) 진행 자체를 뜻합니다. V-I, 즉, 종지는 조성의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이를 설명하고자 한 것입니다.  


그밑에 '딸림기능은 감3화음을 제외한, 3에서 1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진행을 지니고 있다.' 라고 하는 데요 

3에서 6도로 가는 것도 딸림기능이란 건가요? 

-> 조금 오해가 있게 읽힐 수 있겠습니다. 위에 언급한 내용은 감3화음 vii0을 제외한 iii-vi-ii-V-I 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진행 (5도 아래씩 내려가는 진행) 이라는 뜻입니다. 3-6으로 가는 진행도 딸림기능 과정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3화음이 제외되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 감3화음을 일부러 제외했다기 보다는 '감3화음을 고려하지 않고 생각해보면' 이라는 전제가 타당합니다. 앞서 배우신대로 감3화음은 한 조성에서 조금 특이한 위치입니다. 전조가 자유로운 편이고 음이 단3화음씩 쌓여 만들어진 음이기 때문에 특수한 화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종지와 연결해 생각해보면, Vii0은 이끈음을 포함하기 때문에 (iii도 이끈음을 포함하기는 하지만 이는 I의 대리기능적 색깔이 더 강합니다.) I로 가려는 성향이 아주 강합니다. 이러한 특수성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고 딸림기능을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