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93페이지 ex)66 밑에 것.
3. 질문 내용
:
ex 66 예시는 7도 감3화음에서 1도로 가는 진행을 예로든 것인데요,
''1도에서 3음이 중복될 때 가 있는데 이는
1)7도 감3화음 내에 있는 증4도(감5도)를 3도(6도)로 해결시키고자 할 때,
‘또는’
2) 1의 3음이 외성에서 서로 반진행할 때에 한하여 허용한다.'' 에 대한 질문인데요!
즉 1의 조건이나 2 둘중에 하나의 조건일 때 다음 1도 화음에서 3음 중복을 허가한다는 내용이라고 이해 했습니다.
즉 증음정을 해소하는데에 1도 화음의 3음이 쓰였을 때 1도에서 3음 중복을 허가한다.
아니면 3음이 외성에서 반진행 하는 '가운데' 존재하고 있으면 허가한다라고 이해했습니다. 제 이해가 맞나요?
그리고 혹시나..
7도 (감 3화음) 이라는 특정한 경우로부터 출발해 더 확장해서 생각할 수 있나요?
꼭 7도가 아니라 증음정을 가진 화음을, 다음에 이어지는 주3화음의 3음을 써서 해결할 경우 (외성 내성 상관없이) 3음중복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그리고 한번 더 확장해서
만약 증 음정을 가진 화음 다음 부3화음이 나오면
부3화음이 주3화음의 대리라는 사실로 부3화음 5음 중복으로 해결이 가능하다는 얘기로 확장시킬 수 있는 내용일까요?(부3화음에서 5음을 중복을 못하는 이유가 주3화음의 3음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오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