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3. 질문 내용
:
앞서 3화음에서 1전위형은 강박에 위치시켜도 되지만,, 2전위 화음은 베이스와 상성 사이 4도 음정 때문에 매우 불안한 화음으로서
약박에 위치한다고 했습니다. (1의 64인 종지형을 제외하면..)
그러면 속, 감,반감, 부 7화음의 1전위(65)도 강박에 위치시켜도 되지만 2전위 화음(43)은 약박에 위치시켜야하는지 궁금합니다.
2전위보다 3전위가 더 화성기능이 약해지고 더 불안한 소리가 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면 3전위(42)의 경우도 약박에 위치시켜야 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작곡시 약박에서는 강박보다 의식적으로 음량이 줄어들게 화음을 구성하고 연주시에도 이 셈여림을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수강생님,
주3화음 뿐만 아니라 다른 화음의 2전위는 강박 특히, 각 마디의 제일 첫박의 강박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전위와 7화음의 3전위는 다릅니다. 오히려 7음이 제일 베이스로 이동하면서 소리가 더 강력해집니다. 3전위는 강박에 쓰일 수 있습니다.
작곡시에는 강박와 약박이 (예를 들어 4/4는 강 약 중강 약) 존재하나 이를 작곡가가 의도적으로 비틀거나 반대의 구성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싱코페이션 (당김음)을 사용하여 강과 약의 순서를 바꾸어 곡의 분위기를 바꾸거나 강조할 수 있습니다. 화성풀이에서 화성의 기본적 성격과 개념을 배운 후 이를 작곡에 활용하시면 됩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