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08-08
조회수 : 27
목록으로
4성에 국한된 백병동 화성학의 실전적 적용에 대해 여쭤봅니다.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116페이지 베토벤 악보에 관한 질문입니다. 


3. 질문 내용

:  

현재 비화성음 까지 수강을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116페이지의 악보를 보던 중 4성 에 해당되었던 규칙들이 5성 ..6 성..8성으로 가면 특히 중복에 대해서 어떤 규칙을 가지고 확장될 수 있는 것인지..의문이 들더군요,, 아예 새로운 내용의 영역인 건가요?,, 


특히 7번에 5도 7화음은

7음인 시 b이 예비없이 사용되어 있고 

3음이 세번이나 중복되어 있고 ,, 

Db음이 갑자기 등장하고..  비화성음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없는 것 같고,, (화성음으로 해결이 되고 있지도 않으므로..)

이 화음은 어떤 규칙으로 쓴 것 일 까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로운샘.




 





수강생님,


작곡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빠지는 딜레마에 봉착하셨군요. 화성학에서는 금지된 내용들이 곡에서는 버젓이(?) 쓰이기 때문이죠.

우선 시중에 소개되는 대부분의 전통 화성학 교재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기 보다는 '음악전공을 위한 대학 일반 교과목의 교재'( 교재 머릿말) 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이 책은 4성의 화성풀이를 위주로 (바흐 코랄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되는) 흘러갑니다. 즉, 작곡을 한다는 개념보다는 조금 선행된 작업이고, 화성의 여러 규칙들을 개념을 익히고 연습문제와 분석을 통해 몸소 체화하는 과정입니다.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는 드뷔시도 4도 병행 진행을 즐겨 썼습니다. 우리가 지금 배우고 있는 전통 화성학은 대위법 이후에 정립된 이론으로 현재까지 여러 갈래로 화성학이 발달하면서 많은 변화가 있어왔습니다.

내가 작곡가로서 곡을 쓸 때, 예를 들어 피아노 곡을 쓸 때 4성 풀이 하듯이 작곡을 하지는 않을 것이고, 언급한대로 7성 8성의 성부도 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화성학 공부에서는 음악에서 음과 화음을 어떻게 다루고 있나, 순차와 도약의 차이는 무엇인가, 종지는 왜 중요한가, 어떤 화성적 흐름이 좋은가 등 기본적인 대원칙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음의 중복이나 병행이 (특히 옥타브 진행, 소녀의 기도에서 옥타브 진행이 병행8도니 이건 틀렸다 할 수 없는 것처럼) 곡에 쓰일 이유가 있다면 쓰일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연계된 작곡 수업이 없는 것이 안타깝습니다만, 화성학을 수강하신 이후로는 많은 작곡가들의 곡을 분석 및 필사하며 모티브도 잡고 반주도 채워나가는 연습을 하셔야 할것입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