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교재 135페이지 입니다
-> 수강생님, 답변 드립니다.
3. 질문 내용
: ex 95 밑에 이 중에서 ii7, iii7, vi,7은 3화음 일때도 그대로 부3화음이기 때문에 부 3화음의 용법이 그대로 적용되며,,...라고 나와 있는데요
부3화음의 용법이 적용된다는 말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 부3화음의 용법이라는 것은 7음이 추가되기 전의 부3화음에 대한 처리와 같은 것입니다. 예를 들면 3음중복이 가능하다는 점 (주3화음과 다르게), 주3화음의 대리기능을 한다는 점 등입니다. (부3화음에서 배운 내용들이 7화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ii7의 7음을 유도하는 것에 대해 135쪽 밑에 같은 음에서 예비를 시키는 방법과,
'''동일 화음인 ii의 근음을 2도 하행시켜 경과적으로 7음을 유도 한다'''''는 내용이 있는데요
그러면 부 7화음의 7음을 유도할 때 동일 화음이 아닌 다른 화음의 구성음으로 부터 하행시켜 유도하는 경우를 배제한 것 같아 헷갈리네요
앞선 화음에 상관 없이....부 3화음의 7음 역시 속 7이나 반감 감 7 의 7음 처럼
같은 음으로 예비하거나 , 한음 높은 음으로 부터 하행시켜 유도 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같은음이나 한음 높은음 (순차하행진행)으로부터 유도하는 것 가능합니다. ex.96위에 예비되는 화음은 vi이 좋지만 7음이 포함되는 다른 화음도 가능하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ex.96에 I 는 후행화음 ii7의 7음 '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도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로운샘 !
-> 감사합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