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초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155-156 경과음 파트 입니다!.
3. 질문 내용
: 경과음 사용에 대해서 질문이 있는데요!.
경과음이 3화음으로 한정되어 법칙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155 밑)
주로 3도 사이에 쓰거나 4도 사이에 이중으로 쓰는것이라고 하는데요.
7음을 예비하는 과정에 반음계적 경과음을 넣어도 되나요?
예를들어 장 2도 간격 안에 반음계적 경과음을
CM-G7 이면 5음이 G7의 7음을 예비하게 되는데 (솔 -파로)
솔 솔b 파 로 경과음을 사용하거나
7화음의 7음을 연결할 때도
예를 들어 CM7(I)- Bm7b5 (vii) 를 연결할 때 7음인 '시에서 라'로의 진행이 있는데
그리고 V 9음에서 I의 5음으로 해결이 될 때 반음계적 경과음 써도 되나요?!
시 시b 라로 경과음 사용하는것이 가능할 까요?!
로운 샘 항상 질문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강생님,
경과음은 말그대로 거쳐가는 음입니다. 곡에서 화성음 사이에 얼마든 경과음이 쓰일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 경과음이 계속 반복이 되면 그 음악의 스타일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음계적 진행이 많으면 곡의 색깔이나 분위기가 바뀔 수 있겠지요. 이것은 금지의 영역이기 보다는 선택의 영역일겁니다. 그리고 V9에서 I에서의 반음계적 경과음은 종지에 쓰이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나 더 그럴 것입니다. 이러한 용례를 알고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