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24강 연습문제 19 1 - 2
3. 질문 내용
:
저기 중괄호 친 부분에서의 질문인데요!
(Dmajor 기준 상대음으로 말하겠습니다 !)
1. 중괄호 앞에 도가 계류음으로 오다가 시 라로 순차로 떨어지는 데요! 계류음의 해결음인 시를 도와 라사이의 경과음으로도 볼수 있나요?
-> 지금 질문은 비화성음이자 동시에 화성음이냐는 것이죠? 그러니까, 계류음의 해결음을 경과음으로 만들어도 되냐는 물음이시죠?
해결이라는 것은 말그대로 소리의 해소가 일어나야 하는데 이 음을 비화성음 처리한다면, 제대로 해결하는 느낌이 나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어느 화성의 경과음이냐에 따라 소리가 부딪히거나, 티안나게 부딪히거나 할 것이기 때문에 어떤 화성을 쓰는지가 중요할 것같습니다. (계류음의 해결음의 화성이요.) 그리고 음의 나열도 봐야 합니다. 2도에서 1도로 가는 소리 등은 아무래도 좋지 않겠죠. 즉, 음의 배치, 화음 구성에 따라서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2. 시-라- 솔 순차로 떨어지는 데요 라가 이음줄로 연결이 되어있는데요
이 이음줄로 연결된 라를 경과음으로 보기도 하나요?
->경과음이 붙임줄로도 이어지냐는 질문이지요? 이어질 수 있습니다만, 여기음을 다 경과음으로 처리하기에는 붙임줄로 연결된 뒤의 음이 강박이기 때문에,
경과음 소리(역할)로 들릴런지는 모르겠습니다.
3. 계류음과 경과음 두가지 동시에 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계류음이자 경과음은 제가 들어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계류음이자 경과음이 되는 음을 쓰려는 의도가 있을까요? 그 의도에 따라서
사용이 가능할 것도 같은데, 박자나 리듬을 따져봤을 때, 가능할런지 모르겠습니다. 예시가 있으면 그에 맞게 답변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로운샘!
->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