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10-24
조회수 : 31
목록으로
계류음 문제풀이 질문입니다.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초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10 주차 24번째 강의 문제 풀이 


3. 질문 내용- 글 안에 답변 드릴게요.

:  

강의 때 풀어주신 문제를 스스로 풀어 보았는데요!.. 선생님 보시기에 괜찮게 풀었는지 궁금합니다..😂


풀고 나서 질문이 몇가지 있는데요.

1. 소리를 들어봤을때 5번째 마디에 3도에서 계류음과 함께 iii의 1도와 5도만이 울려서.. 살짝 빈약하게 들리는 것 같은데 선생님께서는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이것을 iii7을 사용함으로서 해소해볼수 있을 까요?


-> 악보상으로 그리고 소리상으로 첫째박 자체가 소리가 빈약한 것은 맞습니다그런데 계류음이 2박에 해결이 되므로 해결되어서 해소되는 느낌을 위해서는 첫째박에 결핍이 있어도 되겠지요. 7음 자체도 다음에 해결을 하기 위한 부딪히는 소리이기 때문에 곡에 긴장을 줍니다. 하지만 이것이 느끼시는 소리의 빈약함을 대신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첫째박만 듣기보다는 그 다음에 어떻게 해결이 되는지까지를 음악으로 보시면 어떨까요? (물론 의견주신 7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좀 더 해소감이 크겠지요. 음악은 언제나 긴장과 이완 ..)



2. 또한 ,,4번째 마디의 시(D메이져에서의 상대음 라음)를   V9의 화성음으로 보고 그 다음 마디에서 9음을 계류음 처리해서 해결해도 좋을 까요?!


-> 한 마디 전체를 V로 놓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가능합니다. 


3. 대가들은 계류음을 Tie 를 해서 많이 이용했나요? 타이 없이 썼는지 궁금합니다!.. tie 가 있으면 하 3성의 나머지 성부의 불완전한 울림이 강조해서 쳐지는 느낌이라.. 제가 피아노를 못쳐서 그런 걸 수도 있긴 한데요,, 선생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 흥미로운 질문이네요. 보통은 Tie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음악적 장식 언어가 많이 없을 때이기 때문에 음악을 어떻게 끝맺느냐에 대해 작곡가들이 많이 고민했을 겁니다. 그당시는 강박의 사용이 중요했는데 (강박과 약박의 구분) 계류음은 그 박자의 밸런스도 깨면서 해결도 늦추지요. 그래서 음악이 사람을 안달나게 합니다. 그리고 계류음이 단 한자리에 한 번만 쓰인다면, 자칫 엉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계속 시퀀스처럼 연속적으로 사용된 용례가 많습니다. 그러면 그 소리가 비어 보인다고 느끼기 보다는 하나의 패턴처럼 긴장- 이완의 연속인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앞뒤 관계만 보는 것 보다 곡 전체를 아울러서 본다면 또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소리가 비어보인다는 수강생님의 그 말도 맞습니다. 그것을 이용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제일 마지막 마디의 B와 S 병행 8도가 있습니다.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로운샘! 좋은 하루 되세요!😊 

-> 감사합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