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172 페이지
3. 질문 내용
선생님 교재 비화성음 예시 분석을 하다가 슈만 곡에서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제가 볼 때는 3마디 5도 도미넌트 그리고 1도 다시 세마디 5도 도미넌트 1도의 구성을 가져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데요
:
의아한 4개의 지점이 있더군요..!
1. 1번 지점 에서의 V의 b9음이 베이스로 간 것 같은데 이것 분석을 어떻게 할 수 있을 까요? (뒷쪽에서 나오는 내용일까요?)
-> V의 b9음이라는게 무엇인가요? 지금 진도가 어디까지신지 모르겠지만 화성풀이를 질문하신거면 viio7(감7화음)으로 표기할 수 있겠습니다.
2. 2번 지점에서 경과적인 화성이 들어간 것 같은데 이거 분석을 어떻게 하면 좋을 까요?
-> ii 나 IV로 볼 것 같습니다.
3. 3번 지점에서 F7코드의 9음이 셋째 박에 등장하는 데요. 9음이 해결 없이 7음인 Eb으로 갔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음, 네 곡에서 9음의 해결 (혹은 9음으로 볼지 그저 비화성음으로 볼지 선택이 필요)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9음이 V의 구성음인 Eb으로 갔다가 자연스레 다음 화성으로 넘어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배우는 전통화성풀이 이후에 나타난 것이 이 슈만의 곡이기 때문에+ 그리고 이것은 화성풀이가 아닌 작품이기 때문에 배우신 내용이 100똑같이 적용하는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4. 4번 지점에서 바로 전의 Eb으로 부터 3도 도약 후 BM의 화성음 레로 도입되는 캄비아타가 강박으로 등장했다고 봐도 될까요?
-> 저라면 전타음 정도로 보겠습니다.
질문이 좀 많아서 죄송합니다..
항상 질문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로운샘!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