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12-25
조회수 : 178
목록으로
부7화음의 중복, 7음의 해결에 대해 질문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9주차, 부7화음의 종류와 해결, 교재 135p, 136p


3. 질문 내용->직접 답변 드리겠습니다. 

:

1.먼제 부7화음의 중복 생략에 관해서 질문하고싶은데요, 부7화음(ii7 ,iii7, vi7)의 근음중복까지는 알겠는데, 3음중복은 왜 안되는건가요? ii, iii, vi는 부3화음 파트에서도 주3화음의 대리기능을 하기때문에 3음중복을 허용하는걸로 알고있었는데, 부7화음 역시 부3화음의 용법과 같은거라면 똑같이 5음이 생략되고 3음이 중복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혹시 그런 대리기능이 사라지는건가요? 그게 아니라면 3음중복에 대해서는 왜 언급이 안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 제가 가지고 있는 교재에 의하면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p.135)

1. ii iii vi의 부7화음은 부3화음때의 용법이 그대로 적용된다.

2. I, IV의 부7화음은 7음이 근음에서 유도되는경과적해결이 가장 효과적이다. 

3. 중복과 생략에 있어서는 ‘속7화음’ 과 같이 5음만 생략 가능하고 따라서 근음만 중복될 수 있다.

부7일 경의 중복과 생략은 속7화음때와 같이 처리합니다. 


2. 교재 136p에 보면, 부7화음의 7음이 선율적 이유로 해결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물 때 근음을 2도 상행시킨다는 내용이 있는데요, 제자리에 머무는 것과 근음을 2도 상행시키는 것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7도 불협화 음정을 6도 불완전협화 음정으로 해결시킨다고 보는 것이 맞을까요? 


ex)97에 보면 ii7의 7도는 I6을 거쳐 결국 V의 이끈음으로 진행되는데, 어떻게보면 이것도 결과적으로 해결되는것이라고 볼 수 없나요?


-> 해결이 반드시 이동하는것을 의미하지않고, 

자리에 머무르는것으로 해결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ex97의 예시같은 선율의 흐름은 매우 흔합니다. 

언급하신것 처럼, ‘결과적으로 해결’이라는 용어가 적절합니다. I6에서 딜레이되어 결국 V에와서 시로 이동했으므로 해결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항상 친절하고 상세한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메리클스마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