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기타 : 김종양

글쓴이 : 김종양
등록일 : 2016-10-03
조회수 : 55
목록으로
악보를 계이름으로 쳐보고싶은데

예를들어 등대지기를 계이름으로 치고싶다고 하면 그냥 악보에나 와있는데로 도파파파레~ 로 쳐야되는지

아니면 라장조니까 도가 레음이되서 레솔솔솔미~로 쳐야되는지 궁금해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악보를 보고 멜로디를 연주하실 때는 기본적으로 '음이름'으로 읽어서 연주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물론 중,고급과정을 통해 '스케일블럭'이라는 것을 배우시게 된다면 멜로디를 '계이름'으로 읽어내서 보다 효율적이고 응용하기 쉬운 형태로 연주하실 수도 있겠지만 우선적으론 멜로디는 '음이름'으로 읽는다는 개념을 갖고계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고로, '음이름'과 '계이름'에 대한 개념은 2주차 3강에서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실제 악보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죠. (초급교재 4주차 2강)

못갖춘마디부터 시작하여 2마디째 까지의 가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얼 / 어 붙 은 달 / 그 - 림 자 물 /

 

1) 이 부분을 오선보상의 절대적인 음높이 그대로 읽어내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조표의 영향으로 인해 C#과 F#이 된다는 것 주의하세요.) 

 

얼 / 어 붙  은  달 / 그 - 림 자 물 /​

A / F# F# F# D / E D B A  A /

 

2) 한편, 해당 키인 D키의 계이름으로 읽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D키의 '으뜸음'은 D음이므로 D음을 '도'라고 읽습니다.)

 

얼 / 어 붙 은 달 / 그  -  림 자 물 /​

솔 / 미 미 미 도 / 레 도 라 솔 솔 /

 

​이와 같이 '음이름'으로 읽어내는 것과 '계이름'으로 읽는 것은 분명한 차이가 있구요, 멜로디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1번의 경우처럼 '음이름'으로 읽어낸 '실제 음높이'를 연주해야 하겠습니다.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1번의 읽기방법을 음악이론에서는 '고정도법'이라고 하며, 2번의 읽기방법을 '이동도법'이라고 합니다. 기억해두세요. 

 

멜로디연주 >> 고정도법('음이름'으로 읽기)

 

자, 그럼 음이름으로 읽어낸 "A / F# F# F# D / E D B A  A /" 을 ​어떻게 지판에서 연주할까요? 역시 2주차의 1~2강을 참고해서 찾아보실 수 있을텐데요, 시작하는 두 음만 우선 알려드리자면, 

 

 

1. 해당 'A음'은 '가온다' 아래의 'A음'이므로, 5번줄 개방현음이 되겠고,

 

2. 이어지는 'F#음'은 '가온다'와 한옥타브 위 'C음' 사이의 'F#음'이므로 4번줄 4프렛음이 되겠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곡의 멜로디음을 끝까지 찾아 연주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