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기타 : 김종양

글쓴이 : 김종양
등록일 : 2021-01-21
조회수 : 26
목록으로
중급 P47 춘천가는 기차 세째마디 AM7 코드에 대하여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초.능.력 통기타 [초급+중급])

중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와 관련된 질문의 경우 교재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4주차 2교시 4.02강의에서 동영상강의 19분 16초

3. 질문 내용

: 중급 P47 춘천가는 기차악보에서 AM7기타 코드 동영상에서 6번줄에 5프랫에 근음이 있는 AM7기타코드는 어느 개방현 코드에서 파생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DM7코드는 개방현 AM7코드에서 5프렛 이동해서 만들어졌잖아요.. 그런데 AM7코드는 개방현 무슨 코드에서 생겨났는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해가 되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AM7은 'E형'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요, CAGED 시스템의 기본모양 그대로가 아니라 변형된 운지입니다. 'E형'의 기본은 6줄을 다 누르지만, 해당 AM7은 거기서 5번줄과 1번줄을 뮤트해주면 됩니다.


중급교재 1주차 2강 '스텝2'를 보시면 해당 운지에 대한 짤막한 소개가 있습니다. 


'스텝2'의 초능력 코드표 중에서 아래쪽 '바레코드' 부분을 보시면 해당 강의에서 소개하는 방법대로 기본적인 F, FM7, F7 세 코드표가 나옵니다. 그리고 바로 그 오른쪽으로 두 개의 FM7을 추가로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그 '별도' FM7 두 개중 왼쪽에 있는 것과 기본으로 소개되는 FM7을 잘 비교해보시면 제가 위에 답변드린 내용을 이해하실 수 있을겁니다. 


요약하자면, 'E형' 바레모양을 바탕으로 1, 5번줄을 뮤트한(또는 생략한) 운지입니다. 


이러한 변화운지들은 중급에서 종종 소개하고 있구요, 고급편에 가서 '음정' 및 '코드구조' 이론을 통해 구체적으로 다루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