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1. 고급 7장의 110페이지 설명에서 'E 믹소리디안'스케일에서 가져왔다고 하셨는데
1) Em 블루스 펜타토닉 코드에
왜 굳이' E 믹소리디안'에서 가져온지,
2) 또, 믹소리디안을 가져와서
왜 '솔#, 도#, 파#'들을 텐션으로 왜 가져왔어야 하는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 '믹솔리디안'이란 스케일은 교재에 설명되어 있듯이 메이저 스케일에서 7번째 음만 반음 떨어뜨린 스케일이랍니다. 초반에 배운 코드이론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스케일의 1, 3, 5도 음은 메이저코드와 같으므로 '메이저 계열'의 스케일이죠. 그리고 7도는 반음 떨어졌으므로 근음으로부터 '장7도'가 아니라 '단7도'가 됩니다.
자, 이쯤에서 혹시 뭔가 확 떠오르실라나요?^^
바로 도미넌트7 코드입니다. '믹솔리디안'이라는 스케일이 가진 음들이 도미넌트7 코드에 알맞는 음들이라는거죠. 이러한 이유로 '믹솔리디안' 스케일은 도미넌트7 코드에 '마이너블루펜타' 다음으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스케일입니다.
여기서 '마이너블루펜타'는 말 그대로 '마이너 계열'인데, 교재에 짤막하게 설명되어 있듯이 '메이저' 계열의 '밝은' 사운드를 연주하고플때 바로 믹솔리디안을 응용해주면 되는겁니다.
그리고 믹솔리디안을 가져왔으면 그냥 쓰면 되는데 왜 굳이 또 텐션으로 2,3,6도음만 가져다 쓰느냐~ 하면, 나머지 1,4,5,b7은 이미 연주하고 있던 '마이너블루펜타'와 동일하기 때문이에요.
- 마이너 블루펜타 : 1, b3, 4, (b5), 5, b7
- 믹솔리디안 : 1, 2, 3, 4, 5, 6, b7
이러한 이유로 결국 2, 3, 6도음만 남게되어서 텐션만 가져온 모양이 된 것이죠. 자세히 분석해보면 이런 내용입니다. ^_^
스케일에 대한 내용을 시시콜콜하게 늘어놓기엔 지면이 모잘라서 - 굳이 필요하지도 않고 - 간단히 설명했습니다.
여기에선 일단 '마이너 블루펜타' 블록을 외우시는게 우선이구요, 그 다음 2,3,6도음의 포지션도 함께 외워주시면 됩니다.
당연한 얘기겠지만, 2,3,6도음은 꼭 저 자리들에서만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해당 음이름이 위치한 곳이라면 다 가능하죠.
예를 들어 1번줄 4프렛은 G#이니까 3도음으로서 가능하죠. 6번줄 2프렛도 F#이니 2도음으로 가능합니다.
이런 식이랍니다. 이제 좀 이해가 되시려나요?^^
따로 설명을 안해주셔서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어요.
2. 고급 7강에 블루스 릭이 현재 Em 밖에 안 나왔는데
다른 계열도 더 추가로 연습해야 해야 하는 건가요??
- 기본적인 릭의 연주모양만 잘 외워두시면 키를 바꾸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랍니다.
바레코드 옮기듯이 연주할 프레이즈의 블럭을 통째로 원하는만큼 옮겨서 연주해주시면 됩니다.
단, 대부분의 릭이 개방현을 포함하고 있으니 키를 바꿔 연주하려고 하실 때 주의를 좀 기울이셔야겠죠.
블루스 릭에 대해 더 넒게 배우시고 싶다면 일렉기타를 배워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3. 그리고 현재 팝에서 쓰이는 기타 솔로가 이 블루스릭을 이해해야만 기타솔로가 가능한건가요?
블루스 스케일까지는
아침에 눈뜨지마자 기타잡고 쳐도 완벽히 치는데
릭에서 완전 애먹네요.
- 스케일에 익숙해지셨다면 모르긴 해도 스케일의 '사운드'에도 꽤 익숙해지셨을거라 예상됩니다. 이젠 스케일의 기본 연습만 하지 마시고 익힌 릭들을 바탕으로 스케일 블럭 안에서 마음껏 움직여보세요. 물론 반주음원을 틀고 연습하시는게 도움이 됩니다. 이런 것들이 많이 많이 많이 쌓이게되면서 소위 말하는 '즉흥연주'의 세계에 눈을 뜨게 되는거에요.
블루스릭이 만능은 아닙니다 그러나 기본중의 기본!
그만큼 활용도가 높은 것이랍니다.
--------------------------------[답변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