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기타 : 김종양

글쓴이 : 더블루스
등록일 : 2013-03-09
조회수 : 628
목록으로
고급 06.1강 질문 답올립니다~

1.F메이저의 펜타토닉 구성음은?

답:F,G,A,C,D(1,2,3,5,6)

2.F메이저 펜타토닉 구성음과 동일한 구성음을 가진 마이너 펜타토닉과 그 구성음은?

답:단3도 아래인 D마이너 펜타토닉
D,F,G,A,C(1,b3,4,5,b7)


추가질문: 1.여기서 b3 b7은 단3도 단7도의 음간격을두고 표시한것이죠? 그러니까 장음계 입장에서 봤을때를 말하는것이죠?

2.저번 질문에서 블록중심에서 겹친다는것은 서로 3개의 모양의 블록이 나올경우에 서로 같은음 그러니까 같은자리(겹치는자리) 말하자면 겹치는 자리가 많다는걸 말하는 겁니다.
서로 자리로서 봤을때는 블록과 블록사이에 겹치는게 꽤있는데 이걸 다 삭제해주어야 하나...혹시 3개블록말고 안나오는 2개블록자리까지 겹치는 부분을 생각해야하나 이점이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
블록끼리 자리가 겹치는 부분을 다 삭제해야되나 이것을두고 겹친다고 말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냥 말씀하신 음 대체하는 걸로 임의적으로 바꾼것인지.. 아니면 자리가 그야말로 똑같아서 그 겹치는 자리를 없앴는지 알려주세요.




3.제가 큰 착각을 했던게...;;; C메이저와 Am에 속하는 (도레미솔라) 이 구성음만으로 5개의 블록이 다 이루어 져있어서 그 블록모양을 다른 프렛으로 옮겨도 그냥 C메이저랑 Am음에 속하는 구성음만 있다고 생각하는 는 말도안되는 착각을 했었네요... 이것도 큰 착각의 요인이 되었네요 ㅠ...
이렇게 생각할때는 그냥 어차피 도레미솔라니까 일정한 순서대로 배열되는구나 해서 좀 음찾기가 쉬웠는데(예를들면 G음으로 시작하면 바로 다음음이 A이고 그다음이 C다 이런식으로) 바로 응용 포지션으로 옮길경우에 바로 음들이 다 달라지니까... 그렇다고 바로 바로 그자리에서 예를들면 'G음으로 시작하고 레블록이면 이런 구성음이 있으니 이 배열대로 갈거야' 이렇게 생각하기도 힘들고.. 구성음이 결국 펜타토닉음이라고 하지만 블록마다 순서가 다 다르니까요..
이건 선생님께서 강의에서 했던대로 그냥 근음 C자리랑 A자리 다 외우는 수밖에 없죠?
그냥 그자리가 나중에 응용했을때 C자리였던곳은 메이저자리 A자리였던곳은 마이너 자리 이렇게 응용하면되나요? 그리고 응용했을경우에 저음현자리를 보고 Ab이라거나 Fm라고 하시던데 보통 저음현의 C음과 A음을 보고 응용포지션의 펜타토닉스케일을 정의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4.스케일 끝날때 A자리로 끝나면 마이너 C자리로 끝나면 메이저가 되는건가요?
보통 끝날때는 저음현에서 끝내시는거 같던데..고음현에서도 A자리나 C자리로 끝내도 되는건지.. 그리고  저음현에서 둘중에 어느 하나로  끝내느냐에 따라서 나란한조인 메이저와 마이너 펜타토닉 둘중에 하나로 나뉘는건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