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메이저의 펜타토닉 구성음은?
답:F,G,A,C,D(1,2,3,5,6)
2.F메이저 펜타토닉 구성음과 동일한 구성음을 가진 마이너 펜타토닉과 그 구성음은?
답:단3도 아래인 D마이너 펜타토닉
D,F,G,A,C(1,b3,4,5,b7)
>> 두 개 모두 맞습니다. ^^
추가질문: 1.여기서 b3 b7은 단3도 단7도의 음간격을두고 표시한것이죠? 그러니까 장음계 입장에서 봤을때를 말하는것이죠?
>> 단3도와 단7도의 음간격을 두고 표시한 건 맞습니다. 그리고 음정을 얘기할 때는 장음계 혹은 단음계의 '입장'이란 건 없습니다. 근음으로부터의 '거리'가 있을 뿐이지요. 단3도와 단7도 두 음으로 인해 '단음계'의 성격을 가졌다고 볼 수 있게 되는거에요. 참고로 메이저 펜타토닉은 장3도와 장6도이죠.
2.저번 질문에서 블록중심에서 겹친다는것은 서로 3개의 모양의 블록이 나올경우에 서로 같은음 그러니까 같은자리(겹치는자리) 말하자면 겹치는 자리가 많다는걸 말하는 겁니다.
서로 자리로서 봤을때는 블록과 블록사이에 겹치는게 꽤있는데 이걸 다 삭제해주어야 하나...혹시 3개블록말고 안나오는 2개블록자리까지 겹치는 부분을 생각해야하나 이점이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
블록끼리 자리가 겹치는 부분을 다 삭제해야되나 이것을두고 겹친다고 말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냥 말씀하신 음 대체하는 걸로 임의적으로 바꾼것인지.. 아니면 자리가 그야말로 똑같아서 그 겹치는 자리를 없앴는지 알려주세요.
>> 제가 리딩능력이 많이 부족한가봅니다.ㅎㅎ 지금도 제가 이해한게 정확한 것인지 잘 모르겠네요. 일단 이해한대로 설명드릴게요.
블록을 합치게 될 때 생기는 겹치는 부분은 '당연히' 하나로 묶이는 것입니다. '삭제'의 개념이 아니라 원래 '같은 자리'이니까 굳이 두번 표시할 이유가 없는거죠. 예를 들어, 'A마이너 펜타'의 '솔'블럭과 '라'블럭은 5프렛에 있는 음들이 다 겹칩니다.(이거 말씀하시는 거 맞죠?^^) 근데 사실 이건 겹치는 게 아니라, 블럭을 따로 쪼개다보니 별도의 모양이 만들어진 것 뿐이지 원래 '한 자리'인 것이므로 연결할 경우에는 '한 점'으로만 표시되는 것입니다. 지난번에 설명드린 내용은 X표시 된 음들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3.제가 큰 착각을 했던게...;;; C메이저와 Am에 속하는 (도레미솔라) 이 구성음만으로 5개의 블록이 다 이루어 져있어서 그 블록모양을 다른 프렛으로 옮겨도 그냥 C메이저랑 Am음에 속하는 구성음만 있다고 생각하는 는 말도안되는 착각을 했었네요... 이것도 큰 착각의 요인이 되었네요 ㅠ...
이렇게 생각할때는 그냥 어차피 도레미솔라니까 일정한 순서대로 배열되는구나 해서 좀 음찾기가 쉬웠는데(예를들면 G음으로 시작하면 바로 다음음이 A이고 그다음이 C다 이런식으로) 바로 응용 포지션으로 옮길경우에 바로 음들이 다 달라지니까... 그렇다고 바로 바로 그자리에서 예를들면 'G음으로 시작하고 레블록이면 이런 구성음이 있으니 이 배열대로 갈거야' 이렇게 생각하기도 힘들고.. 구성음이 결국 펜타토닉음이라고 하지만 블록마다 순서가 다 다르니까요..
이건 선생님께서 강의에서 했던대로 그냥 근음 C자리랑 A자리 다 외우는 수밖에 없죠?
그냥 그자리가 나중에 응용했을때 C자리였던곳은 메이저자리 A자리였던곳은 마이너 자리 이렇게 응용하면되나요? 그리고 응용했을경우에 저음현자리를 보고 Ab이라거나 Fm라고 하시던데 보통 저음현의 C음과 A음을 보고 응용포지션의 펜타토닉스케일을 정의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음...여전히 접근방법이 조금 혼란스럽네요. 용어사용도 헷갈리구요. 장음계나 단음계의 근음을 언급하실 때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계이름'을 사용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블록을 하나씩 다시 보죠.
자, '라'블록과 '도'블록은 생각하기 쉬우실거에요.
'라'블록은 6번줄의 시작음이 말 그대로 '라'이므로 5프렛 A음에서 시작하면 'A마이너 펜타'가 되고 6프렛 Bb음에서 시작하면 'Bb마이너 펜타'가 되는겁니다. 그럼 3프렛 G음에서 시작하면요? 네. 'G마이너 펜타'입니다. 그럼 이 '라'블록에서 '도'는 어디에 있죠? '라'보다 3프렛 위에있지요? 4번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는 자리입니다. 'A마이너 펜타'의 경우엔 그 자리가 C이므로 'C메이저 펜타'라고도 하는것이고, 마찬가지로 'Bb마이너 펜타'라면 'Db메이저 펜타'가 됩니다. 또한, 'G마이너 펜타'라면 'Bb메이저 펜타'가 되겠죠. 이러한 판단을 빠르게 하기 위해 <'라'블록은 1번손가락 시작음이 '라'이고, 그보다 3프렛 위에 '도'가 있다.> 라는 사실을 알아둘 필요가 있는겁니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에 따라 나머지 블록도 동일하게 외워주시면 됩니다.
'도'블록은 6번줄의 시작음이 '도'라는 것 아시겠죠? 물론 이번엔 2번 손가락으로 시작한다는 것도 함께 아셔야 합니다. '도'로 시작하기 때문에 당연히 '메이저 펜타토닉'이 되겠지요? 이 포지션은 한편으로는 '라'블록에서 4번손가락이 위치했던 자리를 2번 손가락으로 누르고 다시 시작한 것과 마찬가지 개념입니다. 역시나 '도'블럭 운지를 그대로 옮겨서 'Bb메이저 펜타', 'Db메이저 펜타' 등을 찾아보세요. 각각 6프렛과 9프렛에서 찾아보실 수 있을겁니다. 이 블럭은 '라'자리가 좀 멀리 있죠. '도'가 위치한 자리에서 두 줄 아래, 한 프렛 아래에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나머지 세 블록도 외워주시면 됩니다. '도'와 '라'가 어디에 위치했는지를 보는겁니다.
'미'블록은 1번손가락으로 누르는 시작음인 6번줄 '미' 바로 아랫줄(5번줄)에 '라'가 있구요, 그보다 3프렛 위가 '도'입니다. '라'블록에서의 '라'와 '도'가 위치한 구조와 동일합니다. 다만 '라'블록은 6번줄에, '미'블록은 5번줄에 위치한다는 것이 다르지요.
'솔'블록은 '미'블록에서 4번 손가락이 위치했던 6번줄 '솔'을 시작음으로 한 블록입니다. 이번에도 '도'블록처럼 2번손가락으로 시작한다는 것 기억하시구요. 시작음인 '솔'자리 바로 아랫줄에 '도'가 있습니다. '라'는 시작음인 '솔'보다 두 프렛 위가 되겠죠? 찾기 쉽습니다.
마지막 '레'블록은 비교적 눈에 얼른 안들어올 수 있지만 알고보면 별거 없습니다. '도'와 '라'자리의 구조로만 생각한다면 '솔'블록에서의 '도'와 '라'가 각각 한줄씩 아래로 내려간 셈입니다. 2번 손가락으로 누르는 시작음 '레'에서 한줄 내려가면 '솔'이 되는데, 이 5번줄에서의 '솔'보다 두 프렛 위가 '라'가 되는것이고, 그 '솔'보다 한줄 아래인 4번줄에 '도'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글로 쓰니까 조금 많게 느껴지시겠지만 블록을 하나씩 생각해보시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답니다. 1. 각 블록의 시작음 위치를 기준으로 '도'와 '라'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외워두시고, 2. 원하는 메이저 혹은 마이너 펜타토닉의 근음을 찾아 그 음의 위치와 관련된 사용가능한 블록을 생각해보면 12키 중 어떤 메이저 혹은 마이너 펜타토닉이라도 찾으실 수 있답니다.
4.스케일 끝날때 A자리로 끝나면 마이너 C자리로 끝나면 메이저가 되는건가요?
보통 끝날때는 저음현에서 끝내시는거 같던데..고음현에서도 A자리나 C자리로 끝내도 되는건지.. 그리고 저음현에서 둘중에 어느 하나로 끝내느냐에 따라서 나란한조인 메이저와 마이너 펜타토닉 둘중에 하나로 나뉘는건지 궁금합니다.
>> 여러번 말씀드렸다시피 '끝나는 음'이 아니라 스케일이 '시작하는' 음, 다시말해 스케일의 '첫 음'을 보고 판단하세요. '도'로 '시작'하면 메이저, '라'로 '시작'하면 마이너. 물론 '도'나 '라'라는 개념은 C음이나 A음만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는 것은 이제 아실겁니다. '도'가 F가 될 수도 있고, '라'가 F가 될 수도 있는것이죠. 참고로, 스케일을 들려줄 때 대개는 근음으로 끝내곤 합니다만 7음 등, 근음 외의 음으로 마치기도 하기 때문에 끝내는 음을 보고 판단하시는 것은 오류가 있을 수 있답니다.
말이 많이 길어졌네요.
여기까지 이해되셨기를 바랍니다.
이 내용 읽어보시고 강의를 한 번 더 들어보시면 더 쏙속 들어갈겁니다.
화이팅~!!
--------------------------------[답변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