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AGED 각각의 모양이 왜 그런지는 이해하고 계시죠? 각각의 개방현 기본코드 폼들을 기준으로 이름을 붙여놓은 것이고, 각각의 모양 그대로(개방현 포함) 지판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원리입니다.
자, 이제 다음으로 확인할 것은 각 모양이 가진 근음의 위치입니다. 각각의 C A G E D 폼에서 근음이 위치한 자리가 어디인지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수평이동을 할 때 어떤 코드를 누르는 지 알 수 있거든요.
이 두 가지만 확실하게 알고 있으면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전부 알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D 모양(메이저 코드를 기준으로)의 근음은 어디에 있습니까? 네, 4번 줄과 2번 줄에 있지요? 이 D 모양의 경우엔 검지로 운지하게 되는 4번 줄을 가지고 코드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물론 2번 줄로도 판단은 가능하지만 보다 저음현쪽에서 찾는 것이 응용하기 편합니다.). 자, 이제 이 D 모양을 가지고 프렛 위에서 임의대로 자리잡아보세요. 물론 폼을 그대로 유지하셔야 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잊지 마시구요. 자리잡고 나셨으면 그 상태에서 검지가 누르고 있는 4번 줄의 음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세요. 확인하셨습니까? 네, 그렇다면 지금 누르고 계신 코드가 바로 그 음을 근음으로 한 메이저코드입니다. 4번 줄 2프렛을 운지하고 있다면 E음이니까 E코드가 되는 것이고, 5프렛을 운지하고 있다면 G음이니 G코드가 되는겁니다. 9프렛을 눌렀다면? 네, B음이니 B코드가 되는거에요. 이해되시나요? 전부 이런 원리입니다.
다른 예를 들어보죠.
A 모양 운지의 근음은 어디에 있나요? 네, 5번 줄과 3번 줄에 있습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보다 저음현인 5번 줄을 가지고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 A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지판의 아무 곳으로나 이동해서 운지해보세요. 자, 자리를 잡았다면 검지가 바레로 누르고 있는 프렛의 5번 줄 음을 확인하세요. 어떤 음이지 확인하셨나요? 네, 그러면 그 코드는 그 음을 근음으로 한 메이저코드가 되는겁니다. 똑같은 원리죠. 검지 바레가 3프렛에 있다면 5번 줄 음은 C가 되어 C코드가 되는것이고, 8프렛에 있다면 5번 줄 음이 F가 되어 F코드가 되는겁니다. 쉽죠? ^^
거꾸로 특정 코드를 특정 모양으로 운지하려고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Bb코드를 E 모양으로 잡고싶다면? 먼저, E 모양의 근음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아아겠죠? 어디입니까? 네, 6번 줄, 4번 줄, 1번 줄에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이 경우엔 검지바레로 누르게 되는 6번 줄을 가지고 판단하면 되겠습니다. 자 그럼, 이제 6번 줄에서 Bb음이 어디 있는지 찾으세요. 어디에 있죠? 네, 6프렛에 있네요. 그럼 6프렛에서 검지로 바레를 누르고 E 모양 운지를 그대로 눌러주시면 되겠네요. 바로 그 운지가 Bb코드의 E 모양이 되는겁니다.
확인차 한 가지 더 예를 들까요?
이번엔 E코드를 C 모양으로 운지해봅시다. 먼저, C 모양의 근음위치 확인~! 네, 새끼손가락이 운지하는 5번 줄에 있네요. 자, 그럼 5번 줄에서 E음이 어디있는지 찾아아죠. 네, 7프렛에 있네요. 그러면 7프렛 5번 줄을 새끼손가락으로 운지하시고, 나머지 C 모양의 운지를 그대로 따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E코드의 C 모양이 되는것이죠. (이 때, 검지 바레는 4프렛에 위치하게 되겠습니다.)
이해되시죠? 여전히 어려운 부분이 있으시다면 새로 질문글 남겨주세요^^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