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기타 : 김종양

글쓴이 : one77
등록일 : 2015-02-06
조회수 : 45
목록으로
초급교재23쪽스텝4

초급교재23쪽,스텝4에서 질문있습니다.

 스텝4에서 글씨를 보면

G=Em  D=Bm 으로 표시되어 있는데요. 나란한 조를 나타내는 표시 같은데

 

그렇다면 A=F#m 은 뭔가요?

 

위에 처럼 그냥 Fm 으로 쓰지않고 왜 #을 넣어서 표시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추가로 m은 단조임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해주는건가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윗글에도 답변을 남겼지만 짧게 답변남겨봅니다

 

일단 m은 단조를 나타내기위한 표시가 맞습니다

C(대문자만 있는것)은 C Major, 장조를 나타내고

Cm처럼 m가 붙은것은 C minor, 단조를 나타낸답니다~

 

 

음.. 나란한 조사이에는 규칙이있습니다 

C장조와 A단조를 예를들어 살펴본다면

A단조의 으뜸음 '라'음과, C장조의 으뜸음 '도'음은 단3도 관계입니다.

 

무슨뜻이냐 하면

1. 일단 3도라는 의미는

라부터 도까지 자신을 포함해 차례로 흰건반만 쳤을때 3개라는뜻입니다.

(도와 레는 2도관계라고 하구요, 같은음인 도와 도는 1도, 도와 옥타브위의 도는 8도관계라고 해요)

 

2. 그렇다면 앞에붙는 '단'이라는것은 뭐냐, 세음 (라-시-도)를 진행하는동안,

그 사이에 반음관계인 음이 있느냐 하는문제입니다

아시다시피 시-도는 반음관계가 맞으니까 3도 앞에 '단'이 붙구요,

도-레-미의 3도라면 반음관계의 음이 없으므로 장3도겠지요.

 

자 그렇다면 또다른 나란한조 관계인 D장조와 B단조를 보면

역시나 '시'음과 '레'음이 (시-도-레) 로 3도이고, 시-도가 반음관계이므로 '단'이붙게 되어 단3도가 되죠

 

 

눈치채셨나요?

단조의 으뜸음-장조의 으뜸음이 단3도의 관계가 되었을때

두 음계를 나란한조라고 하는것이랍니다

물론 그 이유때문이 아니라 조표가 같은 이유로 나란한조이지만,

나란한조를 쉽게 찾기위해 규칙을 적용시킨거예요:)

 

그러고나면 왜 A=F#m인지 감이오실법도 합니다.

A장조와 어떤 단조가 나란한조일것인데,

일단 이 단조의 으뜸음이 '라'음과 단3도의 관계가 되어야만 하죠

 

'라'음을 포함해 차례로 아래로 세 음을 짚어보면 '파'가 나오지만

파-솔-라 세음사이에는 반음이 하나도없잖습니까?

그렇기때문에 'F=파'음에 #을 붙여줌으로써 파#과 솔사이에 반음을 만들어주는것이고,

이를 통해 파#-솔-라 세음 사이에 반음관계가 하나 생기게 되어 단3도가 되는것이고!

그제서야 비로소 F#단조와 A장조가 나란한조가 되는것이죠

 

이해가셨나요?ㅎㅎ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