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런데 '아파트'에서 기타 코드 Em키를 잡아보면 '라'음이 안나오구요, 다른 노래도 조표와는 상관없이 '다장조 ' 기준으로 기타코드가 적혀 있어 이해가 잘 안됩니다." 라고 추가로 질문해주셨는데요..
1. 우선, Em '코드'라고 말씀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각각의 운지는 '키'가 아니라 '코드'라고 불러야 맞습니다.
2. 그리고, Em 코드를 연주하시면 E음이 '라'음으로써 울리는 것입니다.
3. 위 2번 내용에 대해 아직 혼동하시는 것 같은데요, Em키(E단조)의 으뜸음은 E음이고, 이 E음이 계이름으로는 바로 '라'인 셈입니다. 따라서, Em코드를 연주하면, 해당 키의 '라'음인 E음이 울리는 것이죠.
4. 혹시 A음이 안나온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당연히 안나옵니다. 초급에서 구체적으로 다룰 내용은 아닙니다만, Em코드는 E, G, B 세 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코드랍니다. E단조 입장에서 보면 '라 도 미' 가 되는거구요, 따라서 A음은 없습니다.
5. 그리고, E단조의 입장에서 보면 A음은 '파'가 된답니다.
6. '음이름'과 '계이름'에 대한 내용이 여전히 혼란스러우신 것 같아 한번 더 말씀드립니다. '음이름'은 '절대적'인 음의 높이를 지칭하기 위하여 쓰는 기호로서 편의상 알파벳으로 쓰고있구요, 키가 달라지더라도 달라지지 않습니다. 한편, '계이름'은 '상대적'인 음높이를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편의상 이태리식 명칭을 사용합니다.
7. 예를 들어, 오선보의 다섯 줄 중, 가장 아랫줄에 음표를 그려넣으면 'E'음이라고 부르잖아요? 그런데, 같은 이 'E'음이라 하더라도 C키 입장에서 보면 '미'가 되고, E키 입장에선 '도'가 되는겁니다. 물론, Em키라면 '라'라고 불러야 하겠구요. 그 외에도, F키의 경우라면 '시'가, A키의 경우라면 '솔'이라고 부르게 된답니다.
8. 이처럼, 조성에 관계없이 오선보상에 위치한 어떤 특정한 음의 절대적인 이름을 보고 '음이름'이라 하며,
9. 특정 음을 두고, 키가 달라질 때마다 해당 키의 으뜸음에 따라 바뀌게 되는 이름을 보고 '계이름'이라 하는 것입니다.
10. 그리고 '코드'라는 것은 전부 음이름을 가지고 표기합니다. 음이름과 같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E음'이라고 부르면 그 E 하나를 지칭하는 것일 뿐이지만, 'E코드'라고 하면 'E, G#, B'라는 세 음들의 덩어리를 가리키는 것이니까요.
11.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코드는 음이름과 같은 개념입니다. 그래서 다장조를 기준으로 표기했다고 느껴지는 것이죠.^^
이해되셨나요?
추가적인 질문은 또 따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
--------------------------------------------[답변내용]--------------------------------------------
너무 이해가 잘 되게 답변 주셔 감사 합니다. 추후 또 막히면 다시 질문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하세요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