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기타 : 김종양

글쓴이 : 김종양
등록일 : 2015-12-22
조회수 : 40
목록으로
고급 3주차 강의 중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화성학 이론이라는 게 막상 접해보면 어렵게 느껴지기 마련이지만 몇 가지 예제들을 반복하다보면 뻔하게 반복되는 내용들이라 금방 또 익숙해질 수 있답니다.  

 

먼저 마이너 키의 코드사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몇가지 사항을 적어드립니다. (고급 2주차에서 다룬 내추럴, 하모닉, 멜로딕 마이너의 다이어토닉 코드들을 참고하세요.) 

 

1. 마이너 키의 곡에서 보통은 '내추럴 마이너'의 다이어토닉 코드들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도중에 멜로디나 화음 등의 필요에 의해 '하모닉' 또는 '멜로딕'마이너의 다이어토닉 코드들이 일시적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2. 메이저 키의 곡에서 V7 화음이 으뜸화음으로 해결되는 '도미넌트 모션'을 만들면서 곡의 기본적인 진행감을 연출하는 것과 같이, 마이너 키에서도 곡의 진행감을 위해 V7 화음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내추럴 마이너'의 5도는 Vm7이라서 도미넌트 모션이 나오지 않지요.

 

3. '하모닉 마이너'라는 음계는 2번에서 언급한 '내추럴 마이너' 음계의 부족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내추럴 마이너'의 음계에 변화를 준 것입니다. '하모닉 마이너'의 5도는 '내추럴 마이너'와는 달리 5도가 V7이 되기때문에'도미넌트 모션'을 연출할 수 있게됩니다.

 

4. 위 2번과 3번의 내용을 생각해본다면 일반적인 조성음악에서 '하모닉' 또는 '멜로딕 마이너'의 다어어토닉 코드(적어도 V7 화음 하나만이라도)의 등장은 거의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질문하신 예제곡에서도 역시 위에서 설명드린 경우처럼 코드진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화음들은 모두  C마이너 키의 다이어토닉 코드들이지만, '5도'만큼은 '도미넌트 모션'을 위해 '하모닉 마이너'의 V7을 사용하고 있지요.  

 

6. 위 내용과는 별도로 해당 예제곡 중간에  Ebm7 - Ab7 - DbM7 의 진행이 등장하는 경우는 그 부분에서  Db메이저 키로 일시적인 조바꿈이 되는 부분입니다.  

 


여기까지 이해가 되셨는지요? ^^  

마이너 키에서는 '내추럴', '하모닉', '멜로딕' 등의 다이어토닉 코드들이 필요에 따라 섞여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새 질문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