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는 그냥 독학으로 1년정도 취미로 치다가 좀 더 알고 싶어서 바로 중급 강의부터 시작을 했는데
인터벌 강의 쪽 듣다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6번줄에 루트가 있을때 인터벌의 위치를 듣고 있는데 지판에서 6번줄이 루트음일때 그 루트 위치를 기준으로 인터벌들의 위치를 외우는게 너무 어렵습니다.
물론 하나하나씩 위치를 계산해가면서 따지면 루트음 기준에서의 장3도인지 완전 4도인지를 알수는 있겠지만 그럼 너무 시간이 오래걸리는데 그냥 아예 외워버린다는 생각으로 인터벌의 위치를 외우는게 맞는 방법인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인터벌 그려주신 그림을 보다가 궁금한게 만약에 2번플렛 6번줄이 루트일때 그림을 보면 m7일떄 2번플렛 바레를 하고 4번플렛 5번줄을 잡으라고 나오는데 5번플렛 2번줄에도 단7도가 있는데 그 음을 같이 눌러줘도 m7폼인가요?? 2번플렛 바레 폼에도 단7도 음이 들어가서 굳이 안눌러도 되겠지만 5번플렛 2번줄 단7도음을 눌러줘도 m7폼인건가요??
글로 써서 잘 이해가 안되실수도 있는데 이게 혼자 그냥 딩가딩가 코드 찾아서 치다가 이론(?)을 배우니까 너무 어렵네요 ㅠㅠ
제 질문이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ㅠㅠ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질문은 잘 이해 하였구요~! 답변 드리겠습니다.ㅎㅎ
첫번째 질문!
인터벌의 위치를 아예외워야 하는 것인가요??
- 네 ㅠㅠ결론적으로 우리의 목표는 인터벌의 위치를 외워서 한번에 그 위치의 인터벌이 무엇인지
특정한 인터벌을 집으려면 어디를 눌러야 하는지 빨리 이행하는 것 입니다.
이러한 인터벌의 위치를 알려 드리는 이유는 평생 외운 코드로 곡을 돌리는 연습, 연주를 해 봤자 그 선에서
멈출 뿐이지 아무런 발전적이고 독창적인 연주가 힘듭니다. 따라서 중급과정에는 기타를 좀 더
세분하게 알아가는 인터벌을 지판으로 옮기는 내용들이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
메이저 코드와 마이너 코드의 차이를 손으로 옮겨보며 지판 상에선 어떤 인터벌이 이동하여 코드가 바뀌었는지
이해하고 연주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연습은 자리의 인터벌을 암기하는 방법으로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두번째 질문 !
6번줄에 루트가 있는 m7코드의 2번줄의 단7도를 눌러도 되는 건가요?
네! 그렇습니다. 일반적인 바레를 사용하는 m7의 2번줄의 음정은 P5이고 이 줄에는 새끼를 뻗어서
누를 수 있는 m7도 있죠? 음정의 위치를 앎으로서 우리는 선택의 기회가 생긴 것 입니다.
좀 더 안정감있는 P5의 사운드를 선택할 수 도 있고 m7를 선택하여 좀 더 마이너 세븐코드라는 것을 강조할 수도 있죠~!
지금 질문하신 코드는 바레를 한 마이너 세븐 코드로 4번 줄에도 m7음정이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2,4,번줄에 모두 m7도가 울리게 되며 마이너 세븐의 성향이 매우 강해지는 것이죠.
2번줄의 m7을 누른 것과 아닌 상태를 비교해서 들어보고 직접연주해 더 잘 어울리는 코드 폼으로 선택해주시면
더 좋겠죠?~!
한 포지션에서 이러한 원리로 기본적인 코드를 변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최소한 이 코드가 이러한 코드다~ 라고 알려주는 3,7는 모두 들어가 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코드를 변형할 때 생략을 해도 크게 지장이 없는 음정 들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또 다른 루트, 두번째는 P5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즐거운 기타연주 되세요~!ㅎㅎ
P.S 중급에서 나오는 내용들은 짧은 시간안에 익혀지고 연주되는 내용이 아니라 꾸준한 공부와 연습이 필요합니다.
정말 다음 단계로 업그레이드 되고 싶은 분들이 접하시면 상당히 도움이 많이 되는 내용이며
저렇게 까지 분석하며 연주하고 싶지 않다 ㅠㅠ하시는 분들은 일단 여태 연주해 왔던 곡들을 다듬는 연습이나
비슷한 방법으로 연주해 오다가 점점 지루하고 의문이 생기시는 시점이 올 때 이론적으로 병합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