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기타 : 한지수

글쓴이 : 한지수
등록일 : 2017-09-29
조회수 : 121
목록으로
기타입문자입니다!! 질문드려요.

기타를 처음 배우고 있는 입문자입니다.

치즈기타 강의 너무 재밌습니다!! 처음엔 손이 너무아파 힘들었는데 지금은 시간가는줄 모르고 배우고 있어요!! 정말감사드려요.

 

다름이 아니라 질문드릴게 있는데 1~2 주차는 거이 이론식이로 너무 쉬워서 빠르게 연습하고 지금 3주차 첫 강의를 들었어요.

다름이 아니라 핑거링 연습중에 검지 중지 약지로 1프렛/2프렛/3프렛을 누르잖아요!! 그런데 선생님 손을보시면 어덯게 3프렛안에 손가락3개가 다들어가나요?? 저도 손가락이 짧은 편이 아닌데 똑같이 따라해봐도 도저히 1~3프렛에 손가락이 다안들어가서 엄지까지 중심을 이동하면서 이동해야 되더라구요...

예를 들어 1번줄은 1프렛과 3프렛을 쳐서 파솔을 칠 수 있는데 파를 치고 솔을 치려면 선생님은 엄지도 움직이지 않고 긴손가락으로 파와 솔을 자유롭게 치시던데.. 저는 도저히 그게 안되요.ㅜㅜ 제가 손가락이 선생님보다 짧아서 나타나는 자연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제가 뭘 잘못하는 건지 너무 궁금해요.ㅜㅜ 파->솔을 칠대 엄지까지 이동해야 칠 수 있거든요... 왜냐면 프렛과 가까이 치라고 하셔서... 선생님은 움직이지도 않고 프렛과 가까이 긴 손가락으로 치시던데...

궁금합니다!! 너무 궁금해서 진도를 못나가고 있어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강의를 즐겁게 듣고 계신다니 참으로 다행입니다 ㅎㅎ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발레리나가 처음부터 180도로 다리가 찢어지진 않았겠죠..??

인간의 손가락의 유연성은 원래 그정도인 것입니다 ㅠㅠ

우리가 생활하면서 두 손가락 사이를 많이 벌려야 할 행동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손가락 사이의 유연성이 발달하지 못한 것입니다. 하지만 기타연주를 하려면 

한 프렛에 한 손가락 씩 올려놓을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이는 손가락 길이가 길면 더 유리하지만

짧다고 불가능 한 것은 아닙니다 ㅎㅎ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타리스트들 중 손이 여자보다 작은 훌륭한 기타리스트들도 

많다지요 ㅎㅎ 예를 들면 오지 오스본이라는 락 밴드의 기타리스트 잭 와일드 처럼 말이죠 ㅎㅎ

따라서 유연성을 기르기 위해 특정한 스트레칭 연습을 해주어야 하는데요 ! 이는 지금 뿐 아니라 

앞으로 기타를 연주해 나감에 있어 거의 필수적인 트레이닝이라고 생각합니다. 강의를 따라가다 보면 한번쯤은 등장 하는 파트입니다.  바로 '크로매틱' 이라는 연습입니다. 기타의 줄을 반음계씩 상행, 하행하며 누르고 줄을 튕겨서 연주하는 방법입니다. 

6번줄의 1프렛 부터 시작하여 한 프렛에 한 손가락씩 누르며 4프렛까지 올라가는 것이죠 . 

이때 한번 누른 프렛의 손가락은 떼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누르고 버티지 않고 바로 떼 버리면 스트레치의 효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6번줄 부터 1번줄 까지 상행, 그리고 거꾸로 4프렛,3프렛 2프렛 1프렛 순서로 4번손가락, 3번손가락 2번 손가락 

1번 손가락 이 눌러주며 하행하는 것입니다. 이 연습을 정말 꾸준히 하루에 5분....

정말 5분.......만 2주 짧게는 1주만 하셔도 확!실!히! 유연해졌다! 잘 벌어진다 !하는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참고하실 자료로 타브 악보 자료 올려드립니다. 

줄에 있는 숫자는 프렛의 위치이고 피크로 다운, 업, 다운 ,업  번갈아가며 연습 하시길 바랍니다 !

(잘 안되면 일단은 엄지손가락으로)

 

무궁한 발전 있으시길 바라며!! 

즐거운 연주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