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디에 인터벌 화음을 넣어줄 때는 멜로디보다 아래에 있는 음을 쳐야하니까
만약 멜로디 솔 기준일 떄 , 장6도는 b시이고 장3도는 b미 인건 알겠는데요 ㅎㅎ
그냥 멜로디가 아닌 그냥 솔에서 장6도는 솔에서 반음 내리고 온음 내린 b파 즉 "미" 잖아요?
근데 이게 멜로디 솔 기준일 때 단3도도 미 인데 똑같은 "미"인데 어떨 땐 장6도 어떨 땐 멜로디 기준일 때 단3도 ....이걸 어떻게 기타 지판에서 활용하는건가요?
음정 구하는건 어느정도 간파를 했는데 " 멜로디에서의 인터벌" 을 넣으려고 하니까 헷갈리네요 ㅠ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우리가 인터벌을 생각할 때는 보통 기준음에서 위로 생각해 왔었습니다.
하지만 멜로디에 특정 인터벌 간격으로 화음을 주려고 할 때 멜로디 보다 높은 음으로 인터벌을 연주하면
멜로디가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밑으로 화음을 쌓아줍니다. 모든 경우가 이러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멜로디에서 위건 아래선 방향을 떠나서 벌어진 정도에 따라서 '몇'도 인터벌이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 처럼 멜로디가 아닌 '솔'에서의 장6도는 '미' 이지만
멜로디를 기준으로 밑으로 6도 떨어진 음은 솔-파-미-레-도-시
이고 장 6도는 반음이 1개이므로 반음 더 벌려준 시b 이 되는 것입니다.
"근데 이게 멜로디 솔 기준일 때 단3도도 미 인데 똑같은 "미"인데 어떨 땐 장6도 어떨 땐 멜로디 기준일 때 단3도 ....이걸 어떻게 기타 지판에서 활용하는건가요? "
이 문장에서 멜로디 솔 기준일 때 단3도가 미 라고 하셨는데 이는 솔을 기준으로 밑으로 단3도의 거리에 있는 '미'를 잘
찾아준 경우입니다.(솔-파-미) 하지만 일반적으로 위로 인터벌을 구할 때의 장 6도는 솔-라-시-도-레-미 의 '미'가 나오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위, 아래의 두가지 방향으로 인터벌을 구해나갈 수 있고 그 음들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 요점입니다.
1차원 적으로 음정을 기준음에서 쌓는 것에서 나아가 멜로디를 기준으로 위로 3도화음을 쌓을 수도있고 아래로도 가능한 것입니다.
예를들어 1번줄 8프렛 멜로디 '도'를 기준으로 장 3도화음을 쌓으려면 '도-시-라b' 의 '라b '를 쳐 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라'라는 음은 도를 기준으로 6도의 음 이지만 실제로 소리가 나는 간격은 장3도의 인터벌이 울리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장 3도 화음이 울리고 있는 것 입니다.
이해가 되셨길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 남겨주세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