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옆집언니의 치즈기타 [초급+중급])
: 초급 + 중급 + 고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와 관련된 질문의 경우 교재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1주차 3교시까지 완강
3. 질문 내용
:
선생님 안녕하세요
1주차 3교시까지 강의를 듣고 강의의 내용대로 3프렛까지의 지판을 익히기 위해 연습중입니다.
학교종이 땡땡땡 같은 간단한 동요를 몇번 쳐봤습니다.
질문1.
머리속에 음을 하나 떠올리면 바로 칠수 있을때까지 연습해야하나요?
예를들어 솔을 생각했으면 '6번 개방현이 미니까 미와 파는 반음차이네? 다음음인 솔은 파와 온음차이네? 그러면 총 3프렛 차이니까 여기를 누르고 치면 되겠지?"
이런 생각을 하지 않고 몸에 익은 습관으로 아무 생각 없이 떠올린 음을 자연스럽게 바로 칠수 있는 정도까지 지판을 외우고 나서 다음 강의로 넘어가야하나요?
목표를 어느정도로 잡고 연습해서 다음 강의로 넘어가면 좋은지 궁금합니다.
질문2.
제 목표는 기타로 재즈음악을 하는것이고 작곡이나 편곡도 할수 있게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최근까지는 제가 듣던 음악이 대부분 피아노로 하는 음악이었기 때문에 기타로 멋진 연주를 하는것을 상상해보려 해도 잘 안떠오르고 익숙한 피아노 소리만 떠오릅니다.
그래서 이제부터 피아노 음악은 그만 듣고 기타 음악을 많이 들어야 도움이 될 것 같은데 정보가 없어서 뭘 들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어쿠스틱 기타로 재즈음악을 연주하는 뮤지션을 추천해주실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질문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질문1.
우리가 피아노를 칠 때 미는 도에서 두칸 오른쪽이니까 여길 누르면 되겠지 ..? 이렇게 치지는 않는 것 처럼 기타 지판의 음을도
결국엔 피아노화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지판이 딱 봤을 때 여기는 도, 여기는 솔 이렇게 음이름이 바로바로 나와주어야 완전히 연습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타는 포지션이 너무 많고 음을 익히기도 쉽지 않기 때문에 포지션을 나누어서 하나씩 연습 해 갑니다. 그 첫번 째 포지션이 1프렛 부터 3 프렛 입니다. 이 사이의 음들을 일단은 #,b을 제외한 도레미파솔라시도의 위치는 익히고 외우는 것을 중점적으로 연습해야 합니다. 보통의 취미로 하시는 분들은 이렇게까지 외울 필요는 없지만 기타로 재즈음악을 하시는게 목표시라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질문 2.
재즈기타리스트 '마틴 테일러' 'Martin Taylor'를 추천 드립니다. 코드와 멜로디를 같이 치는 연주를 매우 잘하며 주로 풀할로우
바디기타로 연주하지만 어쿠스틱기타로도 많이 연주하는 뮤지션입니다. 그 외에도 재즈기타리스트들을 추천드리면
John Pizzarelli
Joe Pass
Wes montgomery
Pat methany
Julian Lage
Ted greene
등등입니다^^ 즐거운 기타연주하시고 또 다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올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