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린 : 김지현

글쓴이 : 올린쌤
등록일 : 2017-03-17
조회수 : 202
목록으로
계명읽기에대한것

선생님 강의가  참 맘에들어 즐거히  강의을 잘 보고 배우고있읍니다. 저는 나이가 많아 운지동작이 나  악보보고 연주하는 것이  따라가지못합니다. 그러나 재미가있어 열심히 하고있읍니다.그런데 가끔 혼돈이 되는 문제가 있어 질문을 드리는바 입니다.다름아닌 악보를 보는데 있어서 개방형과 일반적으로 보는 계명이 달라서 혼돈이 됩니다.초급에서  " 신세계 교향곡 2 악장 "  예를 들면  처째마디에 선생님께서는 "미 쏠 쏠"로 시작하는데일반적으로느 "파 라 라 " 라고 시작한다고 하는데 어떤것이 정확한 음계 인지를 알려주시고 자세히 알려 주시면 감사합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히치코크님!! 즐거이 올린이와 함께하고 계시다니 제도 참 기쁘네요.^^ 맞아요~계명 읽기가 다소 혼돈이 될 수 있습니다. 계명읽기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절대음으로 읽는 고정도법과 상대음으로 읽는 이동도법입니다. 맞습니다. 절대음으로 읽으면 \'파-라-라\' 가 맞습니다. 그런데 이 곡 자체의 조성이 #이 2개 붙은 라장조라서 3째줄의 개방현 음을 \'도\' 로 기준잡아서 읽으면 \'미-솔-솔\'이 된답니다. 각 조성에 따라 읽는 방법을 상대음으로 읽는방법이라고 해요. ​ 저희 초급 강의는 음악을 처음 접하시는 모든 분들을 위해서 기본적인 음계 익히기 부터 시작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각 개방현을 \'도\'로 시작하는 이동도법을 기준으로 \'도-레-미-파-솔\'의 음 간격을 익히는 것 부터 시작을 하지요. 그래서 악보를 자세히 보면, 1번줄에서 시작하는 악보는 샵#이 4개인 마장조(이동도법으로 음계를 읽을 때, \'미\' =\'도\'가 됩니다.),​​ 2번줄에서 시작하는 악보는 샵#이 3개인 가장조(이동도법으로 음계를 읽을 때, \'라\' =\'도\'가 됩니다.), 3번줄에서 시작하는 악보는 샵#이 2개인 라장조​(이동도법으로 음계를 읽을 때, \'레\' =\'도\'가 됩니다.), 4번줄에서 시작하는 악보는 샵#이 1개인 사장조(이동도법으로 음계를 읽을 때, \'솔\' =\'도\'가 됩니다.),​로 각 조성이 다른걸 보실 수 있을꺼예요. 그 이유가 각 조성에 따라 개방현이 \'도\'가 되어서 개방현 부터 음을 쌓아가며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을 익히게 됩니다. 또한, 이렇게 음정을 익히게 되고, 이 이동도법으로 했을 때, 각 줄에서의 손가락 번호의 간격이 동일합니다. 예를 들면, 0번 손가락인 개방현, 그다음 1번 손가락과 2번 손가락 간격을 넓히고, 2번 손가락과 3번손가락 사이는 좁힙니다. 그리고 3번과 4번 손가락 사이는 넓히지요. ​이렇게 하면서 처음 바이올린을 배우시는 입장에서 손가락의 패턴을 한 패턴으로(0번--1번--2번3번--4번)익혀서 쉽게 다가가려고 하였습니다. 초급자를 위한 배려를 위해 하다보니, 기존 악보읽기를 알고 계시면 다소 혼란이 올 수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강의를 시작하면서 설명을 드리고, 교재에 적어 놓기도 했지만, 아무래도 악보를 보면 고정도법이 익숙하기에 혼돈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드네요. 틀리게 읽는게 아니라, 다른 접근 방법으로 강의 진행이 되고 있다고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정도법을 알고 계시면 고정도법으로 읽으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중급에서는 고정도법으로 진행되오니, 더욱 즐겁게 올린이와 친밀해 지시는 시간이 되실 꺼라 생각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봅니다. 언제든 궁금하시거나 어려우신점 있으실때 올려주세요!!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